“당신의 디지털 레디… 어떠십니까?” -미디어 파괴자가 되는 길 -How to be a Media Disruptor 손재권 매일경제 모바일부 기자 지난 2월 13일, 지하철 2호선 사당역. 서울메트로에서 설치한 신문 자동판매기가 있다. 지난 2008년 서울메트로 측에서 시범으로 놓은 것인데 현재는 아무도 이용하지 않고 흉물처럼 방치 돼 있는 상태. 신문 가격은 600원이고 마지막으로 신문이 전시된 일자가 2010년인 것을 보니 4~5년간 그대로 놓여 있는 것 같았다. 더 안타까운 것은 신문이 안나온다고 항의하는 독자들도, 흉물이된 신문 자판기를 왜 철거하지 않냐고 하는 언론사도 없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무관심인데 한국 `신문(Newspaper)’의 오늘을 나타낸 것 같기도 하다. 사실 2015년 2월 기준으로 각기다른 일간신문 한 부의 가격을 정확히 아는 언론 학자도, 신문 기자도 많지 않을지 모른다. <흉물처럼 버려진 사당적 신문자판기 / 사진=손재권> 무관심해진 신문 한부의 `가격‘은 신문 산업의 많은 것을 시사한다. 신문의 비즈니스 모델은 크게 두가지다. 하나는 구독이며 또 다른 하나는 광고다. 독자가 많아지면 구독료가 늘고 이에 따라 광고도 늘어난다. 그래서 신문은 더 많은 독자를 확보하기 위해 독점, 특종 기사를 통해 주목도를 높이고 영향력을 키운다. 그래서 신문, 광고 산업의 비즈 모델을 `관심 경제(Attention Economy)’에 있다는 것으로 해석하는 학자가 많다. 하지만 주목도가 높아야 더 많은 광고와 독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관심 경제 이론은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 플랫폼과 모바일 기기에 이해 급속도로 파괴됐다. 수많은 `단독‘기사를 […]
CES2013 센트럴홀 LG전시장 입구. 개막일에는 사람이 이렇게 많아서 혼이 빠질 지경이다. CES 2013을 취재하기 위해 라스베가스에 다녀왔다. CES에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다녀왔기 때문에 지난해와 비교해서 트렌드를 분석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올해는 신문에 기사를 쓰지 않기 때문에 컨퍼런스도 듣고 전시장도 꼼꼼히 다닐 수 있었다. 기조연설 외에는 업체에서 진행하는 기자간담회나 설명회는 참석하지 않았다. 기자간담회나 업체가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부스투어를 듣고 전시를 보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업체의 설명때문에 시각에 편견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신 나의 직관을 믿기로 했다. 수없이 쏟아진 내외신 기사도 체크했다. CES2013에 대해 본격적으로 정리해볼 참이다. 긴 작업이 될 것이다. 그 전에 키워드 중심으로 간단하게 아이디어를 올려봤다. CES2013 7. 7. 7.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널리 퍼져있지 않을뿐이다” “The future is here. It’s just not widely distributed yet” 미래 학자 윌리엄 깁슨이 한 말이다. 원래 언론학자들 사이에서 두루 회자된 이 말은 안철수 전 대선후보가 대선 출마 선언을 하면서 사용해 한국에서도 알려지게 됐다. 미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도 접할 수 있으며 단지 볼 수 없을 뿐이라는 뜻이다. 올해 CES를 취재하면서 다시 이 문구가 떠올랐다. 하지만 CES에는 미래가 널리 퍼져 있다는 것이 달랐다. 실제 그랬다. 업체들은 앞으로 팔릴 제품이나 시장을 이끄는 제품을 들고 나왔다. 그리고 이구동성으로 “(이 제품은) 세상을 바꾼다”고 외쳤다. 하지만 실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