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CEO 마크 허드가 방한,인터뷰를 했다. 인터뷰에 참여할 수 있었는데 무엇보다 주제가 바로 ‘디지털 파괴(Digital Disruption)’ 였기 때문. 그는 디지털 파괴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는가에 대해 궁금했고 지금의 이 비즈니스 환경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궁금했다. 인터뷰를 통해 적잖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물론 마크 허드는 래리 엘리슨은 아니었다는 점은 분명했다. ㅎㅎ ————————————-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는 거대한 디지털 파괴 현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현재 16~34세)가 경제활동 인구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기 시작한 것은 향후 경제 산업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세계 1위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Oracle)을 이끌고 있는 마크 허드(57) 최고경영자(CEO)의 분석이다. 마크 허드 CEO는 지난 22일 방한, 삼성전자 등 한국의 파트너를 만난 후 매일경제 등과 기자회견을 가졌다. 오라클 창업자 래리 엘리슨이 지난해 CEO에서 물러나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돼 기술 분야를 진두지휘하고 경영은 마크 허드가 총괄하고 있다. 오라클은토털 소프트웨어 솔루션(Paas, Saas, Iaas)를 갖추고 디지털 전환기에 큰 기회를 찾으려는 중이다. 이번인터뷰 주제는 `디지털 파괴(Digital Disruption)’. 모바일, 소셜,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신기술이 결합 돼 기존 산업을 파괴하고 기존에는 없던 신산업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디지털 파괴’ 현상은 올해 CES 2015와 다보스 포럼에서도 강조되는 등 최근 글로벌 경영의 핵심 화두가 되고 있다. 허드 CEO는 기존 산업과 직업이 빠르게 변하고 파괴되는 현상은 신기술이 `인프라스트럭쳐’가 되고 있기 때문에 벌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의 시장 […]
그림자 데이터(DataShadow)가 나를 따라다닌다(1) -빅데이터의 본질 나는 최근 페이스북에 들어가 보고 깜짝 놀랐다. 연휴때 라스베가스에 놀러가려고 이리저리 인터넷 서핑을 한 적이 있었는데 나의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라스베가스의 태양의 서커스(Cirque Du Soleil) 6편(O쇼, KA쇼, 르레브쇼 등) 연말 특별 세일 광고가 뜬 것이었다. 아무생각없이 들어가보고 “이 중 몇편이나 볼까… 좋은데..”를 연발했다. 하지만 창을 닫고 생각해보니 좀 수상했다. “아니 이것들이 어떻게 내가 태양의 서커스 표를 찾았다는 것을 알았을까” 페이스북이 이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정교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라스베가스에 대한 글을 쓰지 않았고 사진도 올리지 않았으며 친구의 포스팅에 대해 ‘좋아요(Like)’를 누르지도 않았다. 그런데 페이스북은 내가 라스베가스에서 태양의 서커스 표를 구하려 한다는 것을 알고 나의 타임라인데 버젓이 광고를 제안했다. 페이스북이 이렇게 정교하게 광고를, 즉 내가 ‘딱 필요한 순간’에 광고를 하는, 내보내기 시작한 것은 나의 데이터(학교, 연령, 성별, 사진 등 내가 페이스북에 자발적으로 올린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가 인터넷에서 하고 있는 행동, 나의 모든 클릭을 추적(Track)하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수백페이지에 달하는 페이스북 약관에 내가 페이스북 창을 열어놓은 상태로 다른 인터넷 사이트에 가서 뒤지는 것을 허용하는 조항이 있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그들은 나의 클릭을 추적하고 수집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한가지 더. 나는 그들이 나를 추적하게끔 허용하지 않았다. 최근 상장한 페이스북에게 ‘돈 벌어오라(Where is Money?)’를 투자자들이 계속 요구하기 때문에 벌어진 현상이긴 하지만 […]
@CNN 모든 미국 대통령은 스토리가 있다. 대통령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통치체제이자 민주주의를 만들어 냈던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부터 ‘테러와의 전쟁’으로 8년을 보냈던 조지 W 부시까지 스토리가 없는 대통령은 없다. 하지만 오바마는 남다르다. 최초의 흑인 대통령에 이어 최초의 ‘재선’ 흑인 대통령이 됐다. 4년전에는 흑인대통령이라는 상징성과 오바마의 개인적인 인기가 그 의미를 덮은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제는 다르다. 그의 재선은 미국이 달라졌으며 새로운 시대로 진입했음을 알리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New America’의 확실한 모멘텀이 될 것 같다. 즉, 우리가 지금까지 알던 미국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결정적 영향으로 독립을 하게 된 한국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이기도 하다. 모든 세계가 하이퍼 커넥티드(Connected)된 2012년. 미국의 변화는 정치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근본적 변화에도 시사점을 주는 것이기에 ‘제대로’ 분석해야 한다고 본다. 앞으로 한국의 대선 결과 뿐만 아니라 한국인들이 어떤 미래를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도 분석이 필요하다. 선거 다음날(11월 7일) 스탠포드대 정치과학과 샨토 렌거(Shanto Lyengar) 교수와 인터뷰과 토론 그리고 선거 결과를 분석하는 미국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었다. 이를 키워드로 풀어본다. @CNN Liberal America 미국이 변했다. 이번 선거 결과는 미국의 인구 구성(Demography)이 변했으며 앞으로도 계속 변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미국은 더이상 백인(White)을 위한 국가가 아니며 인종적으로도 흑백으로 구분되는 나라가 아니라는 점이다. 히스페닉과 아시안 이민자들이 크게 늘어 선거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히스페닉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