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퀘이크_4 : 한국의 TV, 방송시장의 진정한 위기가 시작됐다 (2)새로운 TV 생태계 : 4K 2013년 상반기 현재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 가전업체들의 미국 TV 시장 점유율은 40%에 달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 TV와 소니, 파나소닉, 샤프는 같은 이름이었으나 중반부터 삼성과 LG가 LCD, PDP 등 평판 디지털TV로 승부수를 띄워 일본 업체들을 따돌리고 글로벌 TV의 대명사가 됐다. 이는 부품부터 판낼, TV 제조까지 수직 계열화해서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춘 것도 원인이 됐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 삼성과 LG전자는 세대를 앞선 선행투자와 자존심을 건 연구개발을 진행했으며 LCD, PDP, LED로 오는 과정에서의 기술 혁신은 매우 치열했다. 이는 기립박수를 받아도 충분한 것이라 생각된다. 한국의 삼성, LG전자의 승승장구는 일본 업체들에게는 구조조정을 의미했다. 소니는 존재감을 잃고 ‘브라비아’라는 브랜드마저 힘을 잃게 됐으며 PDP에 사운을 건 투자를 한 파나소닉은 판단을 잘못해 나락으로 떨어졌다. 파나소닉 오쓰보 회장이 이 책임을 지고 사임하게 됐다. 한국의 삼성, LG는 2000년대 후반부터 사실 자기 자신이 경쟁 상대였다. 스스로 기술 혁신의 채찍을 들었고 매년 놀라운 기술을 선보였다. 삼성과 LG는 동시에 ‘3D TV’ 시장을 이끌었으며 그 다음 ‘스마트TV’로 아이템을 늘렸다. LG전자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전미 가전쇼(CES)에서 3D TV 마케팅에 사력을 집중했다. CES 센트럴홀 입구에 위치한 LG전자의 3D 전광판은 정말 볼만했다. 삼성은 ‘스마트TV’ 생태계를 만드는데 집중했다. 최초로 TV에 내장된 칩을 바꾸면 마치 새로운 TV처럼 볼 수 있는 ‘에볼루션 키트’를 선보였으며 TV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S레코멘데이션 등의 첨단 […]
미디어퀘이크_3 : 한국산 스마트TV가 시장 혁신에 실패한 이유 “지난해 6월 혼수품으로 46인치 스마트TV를 구입한 정수민 씨(가명·33). TV로 자유롭게 인터넷 서핑을 하고 애플리케이션까지 내려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기대에 부풀었다. 하지만 막상 TV를 사고 6개월이 지난 지금 정 씨는 TV 시청 외엔 특별히 활용하는 기능이 없다. 자판 없이 리모컨만으로 인터넷을 검색하는 게 불편한 데다 IPTV를 통해 100여개 채널을 쭉 둘러보기만 해도 저녁 시간이 훌쩍 가기 때문이다. 그는 “기본적인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은 스마트폰으로 하는 게 훨씬 편하다. 차라리 저렴한 LED TV나 살 걸 후회가 된다”고 털어놓는다” (매경이코노미. 2013. 1. 21. ‘논란 끊이지 않는 스마트TV‘) 스마트TV를 구입하고 후회(?)하는 사람은 비단 정씨만은 아닐 것이다. 비싼 값에 최신형 TV를 구입했는데 쓰임새는 ‘화질좋은 최신형 TV’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후회’라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는다. 리모콘에 말하면 프로그램을 찾아주고 리모콘으로 마우스 조작하듯 콘텐츠를 볼 수 있다는 스마트TV는 여유가 된다면 집에 한대쯤 가지고 있기 괜찮은 아이템이다. 사실 정씨도 TV로 자유롭게 서핑을 하고 애플리케이션까지 내려받을 수 있다는 기대에 ‘부풀지’는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집으로 손님을 초대하는 기회(집들이)를 한두번쯤은 의무로 해야 하는 신혼집에 ‘나를 표현하는(다른 말로 보여주기)’ 위한 아이템으로 46인치 최신형 TV보다 적합한 아이템은 없다는 생각으로 부풀지 않았을까. 저렴한 LED TV 보다는 최신형 스마트TV가 집으로 놀러온 일가친척, 친구들의 “우와~~”를 유발하기에는 더 적합한 것이 사실이다. 정씨가 과연 ‘TV의 효용’을 생각했을까? 아닐 것이다. […]